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데드락
- java
- 운영체제
- SW Expert Academy
- 캡슐화
- 다익스트라
- queue
- stack
- springboot
- 유니크 키
- 백준
- 객체지향 프로그래밍
- 큐
- 백준 #
- DFS
- OS
- 자료구조
- error
- 디바이스 입출력
- OOP
- Python
- BFS
- 코딩 테스트
- unionfind
- 스택
- 논리 메모리
- 파이썬
- integretion test
- 프로세스
- DP
- Today
- Total
목록springboot (2)
middlefitting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HHj7O/btsHxE9Rd3W/cxnKEPiim1W71isk3GEMhk/img.png)
최근 진행한 프로젝트에서 Socket.IO를 적용해야 할 일이 있었습니다. 처음에는 JavaScript로 탄생하였지만 Java, Python, Rust 등 다른 언어에서도 이를 지원하는 라이브러리들이 감사하게도 만들어습니다. 덕분에 Java 기반의 Spring 프로젝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관련된 한글 자료가 많지는 않은 것 같아서 SocketIOServer를 띄우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서 글을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. 다른 언어로 적용이 필요하시다면 아래의 공식 문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https://socket.io/docs/v4/ Introduction | Socket.IOIf you are new to Socket.IO, we recommend checking out our tutorial.s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ueUG/btsCr62QtcW/s8wipgxQyLers1X3FjWQJ0/img.png)
테스트 코드가 중요하단 것은 개발을 공부하는 모두가 알고 있다. 그런데 생각보다 실천에 옮기기 어렵다. 실제로 학생으로써 개발을 공부하며 다양한 사이드 프로젝트에 참여해 왔지만, 테스팅 환경이 잘 구성된 경우는 없었다. 테스트 코드가 존재하더라도 이미 다 깨진 테스트 코드가 대부분이었고, 관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. 테스트 코드는 잘 작성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. 이유는 다양하겠지만,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시간이 아깝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. 기능 구현하기도 바빠서 테스트를 짤 시간이 없다는 생각이 대부분의 이유이다. 근데 기능 구현이 끝나도 테스트 코드를 잘 작성하지 않는다. 심지어 배포 이후에 버그가 펑펑 터지고 그걸로 고생하는 경우가 생겨도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는다. 이런 상황..